고성 운흥사 대웅전 - 고성군, 경상남도

주소: 대한민국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 441 고성 운흥사 대웅전.

전문 분야: 역사적 장소, 관광 명소.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어린이에게 적합함.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59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5/5.

📌 의 위치 고성 운흥사 대웅전

고성 운흥사 대웅전 대한민국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 441 고성 운흥사 대웅전

고성 운흥사 대웅전

고성 운흥사 대웅전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 441에 위치한 불상 및 전시물로 유명한 관광지입니다.

고성 운흥사 대웅전은 삼존불상, 수월관음, 감로탱화, 신중탱화와 같은 역사적 장소로 유명합니다. 특히 감로탱화는 하단부에 당시의 생활상을 나타내는 그림이 포함되어 있어 역사자료가 됩니다.

임진왜란 당시 유정이 승병을 이끌고 왜군과 싸웠으며 이순신장군도 작전을 세우기 위해 이곳을 세 번이나 방문했다. 장독대가 잘 보존되어 있다.

기상 및 주차

고성 운흥사 대웅전은 휠체어 이용 가능한 곳이며 주차장도 제공됩니다. 어린이에게 적합한 곳으로도 추천됩니다.

리뷰

Google My Business에서 59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평균 의견은 4.5/5입니다.

기타 관심사항

고성 운흥사 대웅전은 역사적 장소로 유명하며 감로탱화가 특징입니다. 이곳을 방문하여 역사와 문화를 expérience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의 리뷰 고성 운흥사 대웅전

고성 운흥사 대웅전 - 고성군, 경상남도
정성현
3/5

삼존불상과 수월관음도, 감로탱화, 신중탱화가 있다.
감로탱화는 하단부에 당시의 생활상을 나타내는 그림이 포함되어 있어 역사자료가 된다.
임진왜란 당시 유정이 승병을 이끌고 왜군과 싸웠으며 이순신장군도 작전을 세우기 위해 이곳을 세 번이나 방문했다.
장독대가 잘 보존되어 있다.

고성 운흥사 대웅전 - 고성군, 경상남도
김상진
5/5

2019년 03월03일 108사찰순례지
경남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 와룡산 운흥사(雲興寺)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이다. 676년(신라 문무왕 16)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일설에는 1350년(고려 충정왕 2)에 창건되었다고도 한다. 1592년(조선 선조 25) 임진왜란 때 유정(惟政)이 6천 명의 승병을 거느리고 이곳에서 왜군과 싸웠다. 또 이 때 이순신이 작전을 세우기 위해 이곳을 세 번이나 방문했다고 한다. 왜군이 불을 질러 모두 불에 탄 것을 1651년(효종 2) 법성(法性)이 중창하였다.

건물로는 대웅전과 영산전·범종루·산신각·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운흥사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서 1974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2호로 지정되었다. 내부에 삼존불상과 수월관음도·감로탱화·신중탱화가 있는데, 수월관음도는 1730년(영조 6)에 제작한 것으로 가로 2.4m, 세로 1.72m의 크기이다. 1998년에 새로운 것으로 바꾸어 걸었다. 한편 감로탱화는 아래 부분에 당시의 풍속을 살펴볼 수 있는 그림이 있어 당시 사회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 운흥사영산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서 1985년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로 지정되었다.

유물로는 운흥사 영산회괘불탱 및 궤· 운흥사소장경판이 각각 보물 제1317호와 제184호로 지정되었다. 운흥사괘불탱은 1730년 의겸(義謙) 등 20명이 그린 불화로서 가로 768㎝, 세로 1,136㎝에 이르는 대작이다. 괘불궤는 이것을 담았던 보관함이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세 번이나 본국으로 가져가려다가 심한 풍랑으로 가져가지 못했다고 한다. 뒷면에 휴정과 유정의 진언(眞言), 영조의 어인(御印)이 새겨져 있다. 운흥사소장경판은 모두 16종 194장의 목판으로 17∼8세기에 새긴 것이다. 그밖에 1690년에 만든 범종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일본으로 밀반출되었다. 산내 암자로는 절에서 와룡산 정상쪽으로 300m 떨어진 곳에 천진암이 있고, 천진암에서 200m 위쪽에 낙서암이 있다. 절에서는 숙종 때부터 매년 음력 2월 8일 호국영령을 위한 영산재를 여는데, 음력 2월 8일은 임진왜란 때 승병이 가장 많이 죽은 날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운흥사 [雲興寺] (두산백과)

고성 운흥사 대웅전 - 고성군, 경상남도
김승재
5/5

대웅전 올라가는 방법은2가지.주차장 주차후 많은신도들이 이용하는 포장도로로 올라가는 쉬운법.불이문을 지나 힘들지만 돌계단 살짝돌아 대웅전을 올려보며 가는법 후자를 택하시면 기분좋은 일이 생길겁니다.

고성 운흥사 대웅전 - 고성군, 경상남도
하동욱
5/5

괘불과 궤를 직접 볼 수 있는건 어마어마한 행운. 조용하고 산세좋은 절입니다.

고성 운흥사 대웅전 - 고성군, 경상남도
뿌꾸빠
5/5

1700년대 지은 건물이 아직도 남아있다는게 신기함. 전쟁통에도 살아남은 몇 안되는 목조건물 유산. 잘 보존되었으면 좋겠다.

고성 운흥사 대웅전 - 고성군, 경상남도
김영민 (.
5/5

보물 운흥사 관음보살도
보물 운흥사 괘불탱 및 궤

고성 운흥사 대웅전 - 고성군, 경상남도
공기덕
4/5

#역사가 숨쉬는곳. #임진왜란 사명대사.#괘불탱화의 국보급 보물. #조선후기 스님들 불화대학.

고성 운흥사 대웅전 - 고성군, 경상남도
Jung-e L.
5/5

역사가 담긴 고찰..매년 뜻깊은 운흥사 영산재 참여

Go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