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계사 - 동구, 대구광역시

주소: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순암로 157-13 파계사.
전화번호: 539844550.

전문 분야: 불교사찰.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611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4/5.

📌 의 위치 파계사

파계사 소개

파계사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중요한 불교 사찰입니다. 주소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순암로 157-13, 파계사이며, 전화번호는 539844550로 연락이 가능합니다. 현재 웹사이트는 공개되어 있지 않지만, Google My Business에서 풍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곳은 특히 불교 사찰 전문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및 특색

파계사는 원통전, 진동루, 설선당, 기영각, 적묵당, 산령각 등 다양한 건물을 소유하고 있으며, 특히 조선 영조와의 깊은 인연을 가졌다는 설화가 있습니다. 이 설화는 1979년 법강의 관름보살상이 재금속화되면서 더욱 신빙성을 얻었습니다. 현재 원통전에는 건칠 관음보살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원통존은 폐쇄 중입니다.

접근 및 이용 정보

파계사는 접근성이 좋은 곳으로,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차량 이용객을 위해 휠체어도 이용 가능합니다. 승용차 기준으로 입구에서 2천원의 주차비를 지불해야 합니다. 입구를 통과하면 작은 다리를 건너고, 그대로 직진하면 아스팔트 도로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다리에서 우측으로 꺾어 올라가면 파계사로 가는 옛길이 있어, 이 길은 훨씬 더 아름답고 낭만적입니다. 주차를 외부에 하고 옛길을 거쳐 들어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관련 정보 및 리뷰

파계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611건의 리뷰를 받고 있으며, 평균 의견은 4.4/5로 매우 긍정적입니다. 이는 이곳이 방문객들에게 큰 만족을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원통전의 보물 지정과 같은 역사적 가치를 자랑하며, 여러 신화와 전설이 얽혀 있어 문화적으로도 큰 의미를 지닙니다.

파계사를 방문하시려는 여러분은 이곳의 풍부한 역사와 아름다운 경관, 그리고 깊은 문화적 의미를 경험해볼 만한 특별한 장소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옛길을 통해 들어가는 경로는 여행의 즐거움을 더해줄 것입니다.

이 정보는 일반적인 안내를 위해 준비되었으며, 실제 방문 시에는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계사는 그 아름다움과 역사로 여러분의 방문을 환영합니다.

👍 의 리뷰 파계사

파계사 - 동구, 대구광역시
김순녀
4/5

2024년 10월 29일
원통전 보물 제1850호, 2014년 지정, 2024년 9월 부터 해체보수 작업시작. 원통전을 해체보수하니 꽤 걸릴거다. 다시 보러오긴 먼 거리다. ㅎ한글로 읽을 경우 '파계사'란 이름은 꽤나 무섭다. 한자 풀이를 하자면 계곡의 물을 휘어잡는다는 뜻으로 지어졌다
고 한다. 현재 원통전, 진동루, 설선당, 기영각, 적묵당, 산령각이 있다. 조선 영조와 인연이 깊다는 설화가 있는데 증거자료는 없다. 다만 1979년 파계사 법강의 관름보살상을 개금할 때 영조의
어의가 나와 설화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원통전에 봉안한 건칠 관음보살상은 설법전에 임시로 봉안중이고 원통존은 폐쇄중이다. 사찰 입구에서 주차비를 징수한다. 승용차 기준 2천원이다. 입구를 통과하면 바로 작은 다리가 있는데, 여기서 직진하면 아스팔트 도로고, 다리에서 우측으로 꺽어 올라가면 파계사 가는 옛길이 나온다. 이 길이 훨씬 예쁘고 낭만적이다. 주차를 외부에 하고 걸어서 옛길로 들어가는 코스를 추천한다.

파계사 - 동구, 대구광역시
Cindy P.
4/5

아늑하고 좋습니다
조용한 곳을 원하시면 이곳을강추합니다
주차장까지 차를 이용하면 5분거리 주차비2천원임
입구 매표소 근처 주차하면
돈안내고 대신 직접 올라가야 합니다 대략 .30분정도
걸어올라가야합니다 산이 험해서 걷는게 힘들지만 도로를 잘닦아놔서 소나무 산새 우거진 산내음맡기 좋습니다.다만 올라가는 차들이 씽씽댤립니다ㅡㅡㅋ
암튼 조용하구 어르신들 많이가시는듯 하네요^^

파계사 - 동구, 대구광역시
한주영
4/5

C 크지 않은 규모에 아늑한 분위기를 보여주는 사찰. 입구쪽에 많은 시설들이 있고, 천천히 둘러보기 좋음. 주차비를 받는 것은 조금 아쉬움.

파계사 - 동구, 대구광역시
JUHO S.
4/5

대구 팔공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지어진 절로 조선 영조대왕의 탄생 설화가 있습니다. 아래 매표소에서 주차비 2천원을 내고 3분정도 오르면 조그만 주차장이 나옵니다. 절의 규모는 크지 않고 좁은 공간에 여러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10여분 정도면 다 돌아볼 수 있습니다. 산행으로 유명한 팔공산이라 등산객이 많이 보입니다.

파계사 - 동구, 대구광역시
이재희
5/5

2024년 사찰투어.
대구 파계사를 갔다.
대구경북은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의 터라 그런지 사찰이 유난히 많다. 또한 대웅전보다 원통전이 많은건 시대의 흐름에 따른것일까?
관세음보살.

파계사 - 동구, 대구광역시
사부작
3/5

조용하네요. 근처에 식당가이니 점심 식사후 들러 보기 좋아요. 공영 주차장에 주차하면 무료지만 20분 정도 걸어야 해요. 절 안에 주차하려면 주차 요금 2천원. 절 입장료 및 주차료는 현금만 받네요.

파계사 - 동구, 대구광역시
IK-HYUN K.
5/5

올라가는길이 등산 수준이니 아이가 있으면 차 타고 갈것.
절 규모가 엄청 크거나 화려하거나 한건 아니지만 부처님오신날을 맞이하여 딸아이와 처음으로 가봤는데 좋은 경험을 하고 왔음. 아이들을 위해 팝콘 솜사탕 풍선등을 나눠줘서 아이가 매우 좋아함.

파계사 - 동구, 대구광역시
Kevin P.
4/5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동화사의 말사로
절 좌우의 계곡물줄기가 흘러내리며 지기가 흘러나가는 것을 방비하기위해 파계라 하였으며, 진동루 또한 파계라는 이름만으로 이곳의 기를 제압할 수 없어 기를 진압한다는 의미로 지었다 한다.

파계사에는 원통전(대웅전)에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모시는 불전과 영조대왕을 위해 기도한다는 기영각, 극락전,지장전,설선당,진동루,적묵당,산령각 등이 있으며 산내 암자로 영조때 지어 현응대사가 거쳐하였다는 성전암은 그후 성철스님 수도했던곳으로 유명한 암자다.
주차장 주위 오색단풍 모습에 이끌려 가서 부도군 둘러보려니 끄트머리에 하마비가 서있는데
'대소인개하마비'.. 좀 어색하다.
인(관직없는), 원(관직있는)으로 구분하여
'대소인원개하마'로 쓰인다던데..

신라 원효대사가 삼국통일과정 죽어간 영혼과 넋을 위해 절을 건립했다는 설을 접하고, 팔공산 주위의 사찰을 둘러본다.
(동화사, 파계사, 부인사, 은해사..)

Go up